본문 바로가기
학부 전공/네트워크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1

by 장어진 2021. 6. 23.

본 글은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수업을 들으며 시험을 위해 정리한 단어 정리 요약본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이나 이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개방형 구조 - 호스트 컴퓨터, 통신제어장치, 단말 제어장치, 단말 장치 등과 같이 응용 프로세스간에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부 채널 – 통신 시스템의 가용한 채널 대역폭을 여러 동일한 작은 대역폭으로 분리한 채널을 말한다.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하는 기구. 선택 채널은 접속되어 있는 몇 개의 장치가 하나의 부 채널을 공용하기 때문에 어떤 장치와 데이터 전송 중에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없다. 

 

데이터와 신호 - 정보의 전송이 실제로는 신호의 전송 과정이다. 전자기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에 대한 파형으로 나타낸다. 

 

신택스 - Syntax, 구문이라고 부르며 데이터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WHAT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나는 한국말로 하는데 상대방은 이탈리아 말로 하면 대화가 되겠는가? 하는 문제이다. 데이터 형식, 코딩, 신호레벨 등을 말하기도 한다.

 

허브 폴링 – 토큰 폴링이라고도 하며 각 요소는 다음 요소를 고정된 순서로 폴링한다. 이 작업은 첫 번째 요소에 도착할 때 까지 계속하며, 이 때 폴링 주기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된다.

 

SABM – 비동기 균형 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 모드는 완전히 균형화되어 있어 마스터/슬레이브 관계가 없다. 각 스테이션은 언제든지 초기화, 감독, 오류 복구 및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FCS –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로 프레임의 끝 부분에 수신 측의 에러검출을 돕기 위해 삽입하는 필드이다. ORC 에러검출 기법에 의해 생성된 비트 배열이 이에 포함된다.

 

DSU – Digital Service Unit으로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변조하지 않고 디지털 전용회선을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회선 종단 장치이다. unipolar 형태의 데이터를 bipolar 신호로 변형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반대의 과정을 거쳐 원래의 데이터를 만들어낸다.

 

임펄스 잡음 - 비연속적이고 불규칙적인 진폭을 가지며 짧은 순간 동안 다소 큰 세기로 발생하는 잡음이다. 보통 디지털 데이터 전소에서 주요 오류 원인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천둥이 있다.

 

버스와 링 비교 – 버스는 가장 간단하며 단일 케이블에 의해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에 연결한다. 링은 고리 구조를 형성하는 케이블에 컴퓨터를 연결한 형태이다. 버스는 수동적 포톨로지이고 링은 능동적 네트워크이다.

 

결정적 신호 - 시간 변수 t가 주어졌을 때, 신호의 값 x(t)를 예측할 수 있는 신호를 말한다. 예측 가능하다는 것은, 신호의 불확실성이 없이 값이 정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결정 신호는 값에 불확실성이 없어 수학적인 형태나 그래픽 형태로 물리적인 기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대역 – 두 주파수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고 남겨두는 주파수 대역을 말한다. 두 주파수 대역은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서비스, 기술, 시스템일 수 있다.

 

시맨틱스 - Semantics, 의미라고 부르며 데이터의 전송방법이라 할 수 있다. HOW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효율적이며 정확한 전송을 위한 엔티티간의 협조 항목과 에러 제어를 위한 항목 등을 말하기도 한다.


윈도우 - 전송 및 수신 스테이션 양쪽에서 만들어진 버퍼(buffer)의 크기로 k 또는 w 로 표기한다.


UI - Unnumbered Information 

 

Flag - 무엇인가를 기억해야 하거나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게 약속된 신호를 남기기 위한 용도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미리 정의된 비트를 의미한다. TCP 플래그는 6종류가 있고, SYN, ACK, FIN, RST, PSH, URG가 그에 해당한다. 

 

DCD - ??? Downlink Channel Descriptor로 하향 링크 채널의 물리계층 특성을 기술하는 매체접근제어 계층 메시지이다.

 

SNR - 데이터 전송률의 핵심 파라미터로 신호 대 잡음비를 뜻한다.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량과 잡음을 형성하는 전력량의 비로서 수신측에서 측정하게 된다. 이 비율은 흔히 데시벨로 표현되고 높은 SNR값은 양질의 신호를 뜻한다.

 

잡음과 채널용량 - 채널용량은 유효대역폭 내에서 정보를 최대로 (전송매체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을 말하며 표현은 정보의 전송속도로 단위는 bps이다. 잡음은 통신 선로상의 잡음의 평균레벨을 뜻한다.

 

FDM의 장점 - FDM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로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FDM 자체가 주파수 편이 변복조의 역할을 수행함으로 별도의 변복조기가 필요없다. 장거리 전송에 필요한 재생 중계기가 전체 채널 하나에만 필요하고 진폭 등화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참조 모델 - 프로토콜, 기능, 관리, 네트워크 각 구성요소별로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간략화시킨 개념적 모델을 뜻한다. 대표적으로 OSI의 참조모델은 세계 각국의 제조업자들이 서로 다른 컴퓨터나 단말 장치를 서로 접속해 응용 사이의 통신을 원할하게 하고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국제표준 규칙을 제공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