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부 전공/네트워크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4

by 장어진 2021. 6. 23.

본 글은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수업을 들으며 시험을 위해 정리한 단어 정리 요약본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이나 이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데이터링크계층 기능 - 네트워크 개체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규정하며 전송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함께 규정

 

SNRM - Set Normal Response Mode로 부스테이션을 정규 응답 모드(NRM)에 설정이라는 뜻이다.

 

RS232의 BA - RS232C에서 2번핀에 해당하며 회로 BA를 뜻한다. 이는 Transmitted Data를 뜻하며 TxD 송신을 의미한다.

 

OSI 7 계층 - 정보 전송기능(실제로 데이터가 공간을 이동하는데 관련된 기능을 수행)을 수행하는 Physical, Data link, Network layer와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Transport, Session, Presentation, Application layer로 총 7계층으로 이루어져있다.

 

통신의 5요소 - 송신자(메세지의 생성 및 송신을 담장하는 장치), 수신자(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된 메세지를 수신하는 장치), message(통신의 목적이 되는 정보), 전송매체(메세지가 송신자로부터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물리적 경로), 프로토콜(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약속의 모임)

 

IEEE 1394 - IEEE가 표준화한 고성능 직렬 버스(HPSB) 표준. 애플사(Apple)가 개발한 파이어와이어(FireWire)를 IEEE가 표준화한 것으로 정식 명칭은 IEEE HPSB이다. 라이선스는 유료이며 전송속도는 480Mbps이고 USB대비 고가이고 Full Duplex 통신방식을 사용한다.

 

광케이블 단점 - 높은 비용과 접속이 쉽지 않다. 또한, 광섬유를 통한 광신호를 전자 신호로 변화하여 사용해야 하고 전자신호 또한 빛으로 변환해 사용해야한다.

 

SDLC - IBM사의 SNA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로써 사용된다. NRZI 신호 방식을 사용하고 루프 형태를 정의하며 이를 위한 명령/응답이 존재한다. 데이터 링크는 SNRM만 사용하여 설정한다.

 

RR - HDLC에서 사용되는 기호로 Receive Ready이고 정보 프레임을 수신가능하다는 뜻이다. 즉, 데이터를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는 것을 모뎀에 나타내는 제어신호 혹은 그 상태를 의미한다.

 

RS232의 BB - RS232C에서 3번핀에 해당하며 회로 BB를 뜻한다. 이는 Received Data를 뜻하며 RxD 수신을 의미한다.

 

초연결사회 -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초소형 컴퓨터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람과 사물, 동물, 데이터, 프로세스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긴밀하게 연결된 사회

 

상호 접속 - interconnection으로 부르기도 하며 사업자 또는 서비스 유형이 다른 통신망 상호 간 전기통신 역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전기통신설비를 물리적, 전기적,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말하며 OSI계층에서 1~3번 계층이 이를 수행한다. 

 

범용 직렬버스 - Universal Serial Bus로 USB를 의미하며 라이선스는 무료이다. 기계적 특성으로 가장 상단에 주 컨트롤러가 있고 암수 구별이 가능하며 허브를 연결해 더 많은 포트를 마련가능하다. USB 2.0의 정격 전류용량은 5 V, 500 mA이며 IEEE1394대비 저렴하다.

 

비대칭 전송 - 일반적으로 9600bps 이상의 고속 모뎀에서 사용되는 전송방식이다. 이 전송 방식에서는 전화선의 대역폭을 저속 통신회선과 고속 통신회선 2개로 구분하는 데 저속은 약 300/450bps, 고속은 9600bps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회선규칙(규범) - 1단계 회선설정(Call Establishment)을 하고 2단계로 데이터전송(Data Transfer)을 하고 3단계에서 회선을 종료(Call Termination)한다.

 

SR-ARQ - 손상되거나 잃어버린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방법이다. 가장 효율적이나, 구조가 복잡해서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한다.

 

명령/응답 - HDLC에 있어서 전송을 시작하는 주스테이션에서의 전송하는 프레임의 제어 필드의 내용을 명령이라 하며, 부스테이션이 송출하는 프레임의 제어 필드의 내용을 응답이라한다.

 

193비트 - 시분할 다중화 기법은 대표적으로 24개의 채널을 사용하고 각 채널 당 전송단위는 8개의 비트와 1개의 오류점검 비트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193비트는 24채널 * 8비트 + 1비트의 계산값이 된다. 

 

표준화와 시장성 - 오늘날의 표준화는 시장의 요구를 반응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시장 요구에 따른 시장지향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표준화가 될 때 상품성이 높아질 수 있다. 통신에 대한 규약을 함으로써 각 제품들 간에 통신이 가능하고 이를 편리성으로 제공할 것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