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수업을 들으며 시험을 위해 정리한 단어 정리 요약본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이나 이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REJ - Reject의 기호이자 S-프레임의 종류로 '거부' 부정 확인응답(NAK)이다.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송신 측에 알리는 메세지이다.
SREJ - Selective Reject의 기호이자 S프레임의 종류로 '선택적 거부', Selective ARQ이다.
DSR - Data Set Ready
DTR - Data Terminal Ready
1,544 Mbps - 전송속도를 흔히 1,544 Mbps라고 한다. 이유는 시분할 다중화 기법의 24채널 * 각 채널 당 전송단위 8개의 비트 + 오류점검 비트 1개 = 193비트가 된다. 여기서 샘플링 초당 8000번을 하므로 193 * 8000 = 1,544 Mbps가 된다. (4주차)
De jure - 공식적인 권위를 인정받은 단체 혹은 기관에서 제정된 표준을 뜻한다. De jure와 달리 De facto는 권위를 인정받는 단체 혹은 기관에 의해서 승인되지는 않았짐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표준을 말한다.
병렬 전송 - n개의 비트를 전송하기 위해서 n개의 회선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단위 전송속도가 같을 때 직렬 전송방식보다 빠르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 회선을 사용해 전송비용이 많이 든다. 여러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한 번 더 정렬해 짧은 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STDM 장점 - STDM은 지능 다중화기로 실제 데이터가 있는 부 채널에만 시간폭을 할당하므로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서비스의 종류 및 속도에 무관하게 망 내에서 물리적 대역폭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러 서비스가 혼합됨으로써 서비스별 대역폭이 매우 유연하게 제공될 수 있다.
PDU - Protocol Data Unit으로 동일 통신계층 간에 교환되는 전체 데이터양(실제 데이터와 운반(교환)수단)을 말한다. 즉 전송단위를 뜻하며 계층별로 PDU의 명칭이 다르다. 물리계층은 비트, 데이터링크는 프레임, 네트워크는 패킷/데이터그램 등으로 불린다.
프레임 - 일반적으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정의되고 프로토콜에 의해 교환되고 운반되는 데이터 단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flag, Header, 정보 데이터, trailer로 구성된다.
룹백 기능 - loopback은 의도적인 처리나 수정 없이 전자 신호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소스로 다시 라우팅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통신 인프라를 테스트 하는 수단이다. Loopback test는 통신 도중에 오류가 발생 시에 '자기진단'을 의미한다.
interconnection - 상호접속으로 부르기도 하며 사업자 또는 서비스 유형이 다른 통신망 상호 간 전기통신 역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전기통신설비를 물리적, 전기적,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말하며 OSI계층에서 1~3번 계층이 이를 수행한다.
V와 X 시리즈 비교 - V 시리즈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이다. X 시리즈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개발된 신규 터미널용 인터페이스로 상호 접속 회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동기식 오버헤드 - 아마 4주차에서 설명하는 것 들어야할 듯 동기식 전송 부분
코어와 클래딩 - 광섬유의 구조로 코어는 굴절률이 큰 속 유리를 말하며 클래딩은 굴절률이 작은 겉유리를 말한다.
DTE/DCE비교 - 국제적 표준 언어로 교환망측의 접속장치를 DCE라 하고 컴퓨터나 터미널 측의 접속 장치를 DTE라 한다.
IEEE 802 - 미국 전기 전자 학회(IEEE) 산하에서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 표준을 담당하는 IEEE 802 위원회에서 제정된 일련의 표준 규칙들의 계열을 말한다.
P/F - 프레임의 커맨드일 경우는 풀 비트, 응답일 경우는 최종 비트이고, “1”일 때 그 기능을 수행한다.
BS/FS - 기본표준(BS)은 표준화단체에서 각 나라마다, 각 기관마다 공동으로 모여 전체의 규격을 의미한다. 실장표준(FS)은 전체의 규격을 통해서 제품화를 위한 선택된 규격을 의미한다.
bis - bis라는 표현은 표준안의 두번째 버전을 뜻하며, x.21 bis가 있다. x.21 bis는 디지털 통신망이 널리 사용되기 전에 아날로그 통신망에서 유용하게 사용한 중간 단계의 표준안이다.
노드 투 노드전송 - 통신에서 노드 간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의 한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데이터를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OSI 모델에서 그것은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적 계층이라는 가장 낮은 두 계층에 의해 처리된다.
draft 표준 - ISO 표준을 표준화 진행 정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초안을 Draft Proposal, 표준초안을 Draft Int'l Standard(DIS)로 표준안은 IS로 나타낸다. 이 중 draft 표준은 DIS에 해당한다.
TCP전송의 단점 - TCP/IP 모델은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각각의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았다. 또한 전혀 일반적인 모델이 아닐 뿐더러 TCP/IP가 아닌 다른 프로토콜 스택을 묘사하는데 적당하지 않다.
'학부 전공 > 네트워크 &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 Circuit(가상회선)과 Datagram(데이터그램) 비교 (0) | 2021.06.23 |
---|---|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5 (0) | 2021.06.23 |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4 (0) | 2021.06.23 |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2 (0) | 2021.06.23 |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1 (1)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