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수업을 들으며 시험을 위해 정리한 네트워크&데이터통신 개념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이나 이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기존 유선LAN은 유지보수나 자연재해로 인한 문제가 있었다. 굴절성, 직진성, 회절성 등의 성질을 지닌 전파의 장점과 기존 LAN 기술의 이점을 그대로 가지며 무선 주파수 기술을 이용해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인 무선 LAN이 등장했다.
애드 혹(Ad hoc) | 하부 구조(Infrasturcture Network) |
AP와 같은 장치 사용 없음 (작은 규모) | AP를 사용. AP의 수렴 반경은 50~100m, 유효 범위가 넓어지면 다수의 AP를 사용 |
무선 장치들을 직접 연결해 구성 (순수한 무선) |
유선LAN과 연결되어 있는 서버와 접속하기 위해 무선 AP장치 또는 무선 접속 장치인 PAU 사용 (무선 AP로 받아들여서 유선으로 사용) |
고정된 PC들로 이뤄진 SOHO 방식의 무선 LAN도 애드 혹 방식 사용 |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등은 PAU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LAN에 접속 |
728x90
'학부 전공 > 네트워크 &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프레임의 demultiplexing (0) | 2021.06.23 |
---|---|
UDP 전송에서 List Type과 Record Boundary (0) | 2021.06.23 |
Metric 정의와 RIP&OSPF 비교 (0) | 2021.06.23 |
Virtual Circuit(가상회선)과 Datagram(데이터그램) 비교 (0) | 2021.06.23 |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5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