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수업을 들으며 시험을 위해 정리한 네트워크&데이터통신 개념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이나 이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MAC 프레임의 demultiplexing 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적합한 상위 계층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Ether type 방식과 LLC 계층에서 이를 수행하는 방식의 두 가지 있다. 따라서 두 표는 이에 따른 차이이다.
[표 1]
프로토콜 | 프로토콜 | ||
0000-05dc | IEEE 802.3 | 0806 | ARP |
0600 | XNS IDP | 8035 | RARP |
0800 | IP | 8137 | Netware IPX |
0805 | X.25 | 8191 | NetBIOS |
[표1]이 Ether type에 해당하는 것으로 DIX 2.0 Ethernet 프레임의 경우를 뜻한다. 이때는 MAC 계층에서 Ether type을 식별해 demultiplexing을 진행하고 예로 0800 이라는 Ether type이 수신되었다면 IP프로토콜이 적합한 상위계층이고 이 계층에 정보영역 부분을 전달한다.
[표 2]
할당 | 할당 | ||
06 | IP | aa | IEEE SNAP |
42 | BPDU | e0 | Netware IPX |
7e | X.25 | f0 | NetBIOS |
80 | XNS | ff | Global SAP |
[표2]는 length 영역을 검사하는 것으로 IEEE 802.3 프레임의 경우를 뜻한다. 이 때 MAC 계층에서는 단순히 길이 영역만 검사하고 이를 LLC 프레임을 LLC 계층으로 전달하고 LLC계층에서 DSAP 값을 기초로 하여 demultiplexing을 진행한다. 예로 SAP 값이 06이면 IP로 LLC의 정보영역을 전달한다.
728x90
'학부 전공 > 네트워크 &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P 전송에서 List Type과 Record Boundary (0) | 2021.06.23 |
---|---|
무선 LAN의 등장배경과 Ad hoc(애드혹), Infrasturcture Network(하부 구조)전송방식 비교 (0) | 2021.06.23 |
Metric 정의와 RIP&OSPF 비교 (0) | 2021.06.23 |
Virtual Circuit(가상회선)과 Datagram(데이터그램) 비교 (0) | 2021.06.23 |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5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