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Type이라고 하는 이유는 UDP는 버퍼가 없기 때문에 빈틈없는 데이터적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Record Boundary는 전송하는 데이터양과 한번에 받는 데이터 양이 같아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00, 200, 200의 데이터를 보냈다면 받는 쪽에서도 200, 200, 200으로 받아야한다. 반면 TCP는 no record boundary이어서 300, 300 으로 받아도된다.
728x90
'학부 전공 > 네트워크 &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프레임의 demultiplexing (0) | 2021.06.23 |
---|---|
무선 LAN의 등장배경과 Ad hoc(애드혹), Infrasturcture Network(하부 구조)전송방식 비교 (0) | 2021.06.23 |
Metric 정의와 RIP&OSPF 비교 (0) | 2021.06.23 |
Virtual Circuit(가상회선)과 Datagram(데이터그램) 비교 (0) | 2021.06.23 |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단어 정리5 (0) | 2021.06.23 |